라벨이 Hyundai Department Store Duty Free인 게시물 표시

현대면세점 희망퇴직 실시(구조조정,면세업계 위기,생존전략)

최근 현대면세점이 5년 차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서울 시내 면세점 매장 축소와 함께 진행되는 인력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면세업계가 겪고 있는 심각한 경영난을 반영하는 조치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면세업계는 중국 보따리상(다이궁) 감소와 글로벌 명품 소비 트렌드 변화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주요 면세점들이 잇달아 인력 감축을 단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현대면세점의 희망퇴직 실시 배경과 그 영향, 그리고 면세업계의 향후 전망을 살펴봅니다. 1. 현대면세점, 5년 차 이상 직원 대상으로 희망퇴직 시행 현대면세점이 이번 희망퇴직을 결정한 이유는 지속적인 영업 손실로 인한 비용 절감 필요성 때문입니다. 현대백화점 그룹 계열사인 현대면세점은 서울 동대문점 폐점을 결정했으며, 무역센터점 또한 운영 공간을 축소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인력 조정이 불가피해졌고, 5년 차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희망퇴직 신청 대상자는 2021년 12월 31일 이전에 입사한 부장급 이하 전 직원이며, 근속연수에 따라 차등 보상이 제공됩니다. 근속 5년 이상 직원에게는 성과연봉 기준 15개월 치 위로금이, 근속 3년 이상 직원에게는 12개월 치 위로금이 지급됩니다. 또한, 신청자에게는 오는 5월 31일까지 유급 근무 면제와 함께 ‘리프레시 기간’이 부여되며, 이 기간 동안 타직장 취업이 가능합니다. 현대면세점의 이번 조치는 면세업계의 위기 속에서 생존을 위한 선택으로 풀이됩니다. 2023년 기준 국내 주요 면세점의 영업손실은 총 3054억 원에 달하며, 이에 따라 면세점들은 고정비 절감을 위한 인력 구조조정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2. 면세업계의 위기와 희망퇴직 확산 현대면세점의 희망퇴직 발표는 면세업계 전반의 위기와 맞물려 있습니다. 팬데믹 이전까지 국내 면세점들은 중국인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