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eb-bond인 게시물 표시

교환사채란 무엇인가? 태광사례 중심으로

교환사채(Exchangeable Bond, EB)는 기업이 자사주나 보유 중인 타사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최근 태광산업이 자사주를 기반으로 EB 발행을 추진하던 중 가처분 신청으로 일정이 일부 보류되며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교환사채의 개념과 특징, 태광산업 사례에서의 주요 이슈, 그리고 향후 전망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교환사채 개념과 자금조달 방식 교환사채는 일정 기간 후 기초자산인 주식으로 교환 가능한 채권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자사주 또는 자회사의 주식을 담보로 활용해 투자자에게 발행하고, 일정 기간 이후 일정 가격으로 주식과 교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합니다. 이는 전환사채(CB)와 유사하지만, 전환 대상이 자사주가 아닌 보유 중인 타사의 주식이거나 자기주식인 점이 차이입니다. 이 방식은 특히 대규모 자금을 단기간에 조달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자사주를 매도하지 않고도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주가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으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채권 이자 수익과 함께 주식 상승 시 차익도 기대할 수 있어 수익 구조가 복합적입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자사주의 가치와 시장 신뢰도에 의존하는 특성이 강해, 해당 주식의 가격 변동성이나 법적 분쟁 가능성 등이 발생할 경우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습니다. 최근 태광산업 사례처럼 외부 이해관계자, 특히 기관투자자의 반발이 일어날 경우 발행이 지연되거나 중단될 수 있어 사전 소통과 투명한 절차가 중요합니다. 태광산업의 EB 발행 추진과 트러스톤의 반발 태광산업은 최근 자사주를 기초자산으로 한 교환사채 발행을 추진해 약 1조 5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었습니다. 이는 향후 투자 및 사업 확대를 위한 재무적 기반 마련의 일환이었습니다. 그러나 트러스톤자산운용이 자사주의 교환사채 활용에 대해 ‘기존 주주 가치 훼손’ 우려를 제기하며 가처분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