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화장품, 미국 관세 이슈 속 사재기 열풍 이유는?
1. 트럼프 관세 정책, K-뷰티에는 기회?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선을 염두에 두고 강력한 관세 정책을 예고하면서, 여러 산업 분야에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화장품, 특히 K-뷰티 브랜드에는 오히려 기회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미국 언론 워싱턴포스트(WP)는 “미국 소비자들이 관세 시행 전에 제품을 대량 구매하고 있다”며, 사재기 목록 6가지 중 하나로 ‘한국산 선크림’을 꼽았습니다. 실제로 미국 레딧, 인스타그램, 틱톡 등 SNS에서는 “한국 선크림 1년 치를 샀다”, “이제 미국산으론 못 돌아간다”는 소비자들의 후기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국 제품의 인기는 선크림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달팽이 크림, 톤업크림, 진정 앰플 등 다양한 제품이 입소문을 타며 미국 내 온라인 플랫폼과 한인 마트를 중심으로 불티나게 팔리고 있습니다. 2. 규제 차이와 품질의 우위 미국에서 선크림은 ‘의약품(drug)’으로 분류되어 FDA의 까다로운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성분과 효능 표기에 대한 제한도 큽니다. 반면, 한국은 ‘화장품(cosmetic)’으로 분류되어 소비자 니즈에 맞춘 다양한 제형과 향, 발림성을 실현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곧 제품 경쟁력으로 이어졌습니다.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 선크림이 부드럽고 흡수가 빠르며 백탁 현상이 적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미국 현지 생산 시 이러한 장점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어, 관세 전 미리 ‘쟁여두는’ 소비가 증가하는 것입니다. 특히, ‘믿고 쓰는 K-뷰티’라는 브랜드 신뢰도는 팬데믹 기간 이후 더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