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Asset Utilization Gap인 게시물 표시

고립된 재산 153조 ,치매 머니의 경고(자산 활용 공백,고령자 금융사기,제도적 보호 필요)

이미지
65세 이상 고령 치매 환자들이 보유한 자산, 일명 ‘치매 머니’가 무려 154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한민국 국내총생산(GDP)의 6.4%에 해당하는 규모로, 해당 자산이 실물 경제로 연결되지 못하고 동결될 경우 심각한 경제적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치매 머니란 무엇인가? 치매 머니란 치매를 앓고 있는 고령자가 보유한 자산을 통칭하는 말로, 고령화 사회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개념이다. 이번 조사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대학교 건강금융센터와 공동으로 진행한 것으로, 치매 환자 자산에 대한 최초의 전수 조사로 평가된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치매 환자는 약 124만 명으로, 이 중 약 76만 명(61.6%)이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들의 자산 총액은 153조 5천억 원에 달하며, 1인당 평균 자산은 약 2억 원 수준이다. 이는 단순한 고령층의 자산 축적을 넘어, 사용되지 못하고 묶여 있는 ‘잠재 자산’으로서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GDP 6.4%가 묶여 있다 – 왜 문제인가? 전체 인구의 2.4%에 불과한 고령 치매 환자들이 보유한 자산이 국내 GDP의 6.4%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충격적이다. 이 자산들은 금융, 부동산, 기타 재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환자 본인의 의사결정 능력 부족으로 인해 실질적인 경제 활동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자산 구조를 보면, 부동산이 113조 원으로 가장 많고, 금융자산은 33조 원, 기타 재산은 117억 원이다. 이처럼 대규모 자산이 실물경제에서 작동하지 못한 채 묶여 있는 현상은 소비 위축과 자산 순환의 단절을 초래하며, 국가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치매 환자들이 금융 사기나 재산 강탈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는 점이다. 판단력이 저하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과 금융사고 사례가 지속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