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BANK인 게시물 표시

은행권 구조조정 현실(은행 점포 축소,인력 감축,디지털 전환)

은행원이란 직업은 한때 수많은 청년들에게 ‘꿈의 직장’으로 불렸습니다. 복지 좋고, 연봉 높고, 무엇보다 안정적인 직업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제 그 이미지는 서서히 바뀌고 있습니다. 디지털 뱅킹의 확산과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은 은행의 구조 자체를 바꾸고 있으며, 그 변화는 은행원 개개인의 삶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줄어드는 은행 점포 수와 늘어나는 희망퇴직 사례는 이 같은 변화의 단면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표면적으로는 효율성을 위한 조정이라지만, 그 이면에는 산업 구조 변화로 인한 깊은 긴장감이 깔려 있습니다. 사라지는 은행 점포, 줄어드는 고객 접점 지방의 어느 작은 도시.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한 골목에 두세 개씩 있었던 은행 지점이 하나둘씩 문을 닫고 있습니다. 통계적으로도 그 흐름은 뚜렷하게 드러납니다. 2012년 7836개였던 국내 은행 점포 수는 2024년 말 기준 5792개로 줄었습니다. 12년 사이 2000곳 넘게 사라진 셈입니다. 이는 단순히 지점 몇 개가 없어진 문제가 아닙니다. 은행이라는 산업 자체가 물리적인 공간에서 디지털 플랫폼으로 중심축을 옮기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모바일 앱 하나로 대출 신청부터 계좌 개설까지 가능해진 지금, 은행에 직접 방문할 이유는 점점 줄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는 이미 대부분의 금융 업무를 스마트폰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이제는 중장년층마저도 모바일 뱅킹에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변화가 모두에게 긍정적인 것은 아닙니다. 고령층이나 디지털 취약 계층은 여전히 창구 이용을 선호하며, 점포 폐쇄로 인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워지는 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은행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운영 비용을 줄이고,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선택이겠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역사회와의 단절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고객과의 접점을 줄이는 일이 장기적으로 신뢰 ...